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개발자
- sqlmapping
- oracle
- 2020정보처리기사3회
- Android
- Framework추천
- 로딩다이얼로그
- 텍스트뷰안보임
- DB자격증
- 로고투명
- 오라클
- 실기합격후기
- 로고추출
- sql최적화
- java
- 7일전사
- 국가공인sql개발자
- 2020정처기실기
- SQL
- 정처기3회실기
- db
- 2020정처기3회
- 웹앱개발
- 시나공IT
- 안드로이드
- 로고흰색배경
- db최적화
- myBatis
- spring
- 어플로딩
- Today
- Total
목록오라클 (2)
Everything counts - 라키의 IT 블로그
에브리데이 코드를 보다가 단골점포 설정하는 부분에서 내 위치에 가장 가까운 점포들이 뜨게 하는 부분을 맵으로 표시할 수 있을까 하고 고민해보았다. 그러면서 알게 된 부분이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 웹 window 객체의 navigator객체를 사용했다는 것, 그리고 그 수치로 Oracle function 에서 연산하여 가까운 위치의 점포를 조회해오고 있다는 것이다. 그 중 연산에 대해 이해하고 왜 사용하는지를 알고 싶어 사용자 정의 함수에 대해 공부해보았다. 우선 사용자 정의 함수 내용을 조회하는 방법은 SELECT * FROM all_source WHERE name = '함수이름'; 해서 내용을 조회 해보니 엄청난 연산수식이 들어있다. 그런데 이런 연산을 굳이 사용자 정의 함수로 만든 이유가 궁금했다. ..
- 이름이 부여된 서브쿼리. 반복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해 만든다. - view 와의 차이점 : view는 만들면 drop할때까지 유지되지만, with문은 쿼리 내에 정의 된 경우 쿼리 안에서만 실행된다. - 사용 이유 : 처음 한번만 parsing되고 계획수립되므로 자주 사용 시 쿼리 성능향상에 도움된다. with test_emp as ( select * from emp ) select * from test_emp * mybatis에서 사용시 태그와도 같이 사용되며 코드 안에서 include만 선언하면 되어 재사용성이 높아진다. with test_emp as ( select * from emp ) select * from test_emp